20210723블록체인_큰그림_현수영강사님
Blockchain을 배우면서 기본으로 알아야 하는 것들을 정리해보자
1. 이더리움 2.0의 로드맵, 비전을 알아야한다.
2. 현재 Web2 / 블록체인Web3 -> '가능한 것 ' 과 '가능하지 못한것'
-> 이러한 큰 맥락을 알아야한다.
3. 블록체인을 완전히 이해하고 -> 모델을 만들자 !
+ 신입개발자 및 비전공자일수록 나만의 언어로 매일 Blog로 매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에 대해 몰랐는데, ~에 대해 이렇게 알게되었다. ('인사이트' 얻은것들 정리)
즉, 공부하는 과정정리하자!
블록체인은 Web이나 App 을 대체하려고 나온게 아니라, 필요한 영역에 사용되기 위함니다.
스마트컨트렉트 배포라는것은
새로운 함수를 이더리움상에 집어 넣는것이다? - > OK
Node.js의 라우터!
라우터 -> 어떠한 url을 치고 들어오면 post요청으로 들어오면 ? -> 어떠한 로직을 수행한다 !
이런것이 이더리움의 특정주소로 올라가있는것이다.
변수 / 함수 등의 하나의 묶음으로 이더리움에올라오면, 고유주소가 올라오는데,
이 주소에 나는 어떠한 함수를 실행하겠다! 라고하면, 그 함수가 실행된다. -> 이거는 아무나 접근 가능! (공개됨)
Web이랑 비교하면서 하면 더 좋다!
사실, 마이닝은 선택이다.
마이너 DB에 저장이된다. (트랜젝션들이 들어있다)
비트코인은 무조건 UTXO의 구성들이 바뀐다 ?
매타마스크 = 개인 키 관리가 가장 핵심이다.
이더 전송 또한 트랜잭션(이더리움의 상태를바꾼다) 이다 .
지갑은 노드주소를 알고있다.
따라서 우리가 버튼을 클릭하면, 지갑에 내장되어있는 노드주소로 서명된 트랜잭션을 날려주는것이다.
그 이후에는 ,
노드가받고 -> 트랜잭션 풀에담았다가 다른노드들에게 전파 -> 어떤 노드에의해 블럭이 생성됐을때 우리의 트랜잭션이 들어있으면, 그 때 처리가된다.
여기서부터 다시 정리하기
Q & N 정리 :
블록체인의 수익모델은 어떻게 창출하나요?
뚜렷한 수익모델이 있어서가 아닌,
비즈니스를 하게된다면, 여기 영역의 비즈니스를 따로 공부해야된다.
송금 / 스마트컨트렉트를 개발해보면, 기존에 은행시스템과는 다르게, 엄청 느려서 더 안좋은 것을 느낀다.
블록체인은 사실상,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가 아닌,
사회적 비용( 노드를 사용함으로써 서버비용, 인력 등)을 줄이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