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프로젝트, Hdac공모전 '우수상' 수상!
AMADO Project 간단 소개 😎
"아마추어 아티스트 기부 프로젝트"
이번 1차 프로젝트였던 Hdac공모전은 결과적으로,
아래의 4명이 팀을 이루어, AMADO Project를 만들어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개발적인 디테일한 부분을 다루기 보다는,
4팀 팀원들의 프로젝트내의 각자 기여한 부분 및
AMADO프로젝트 간단 소개를 하려고합니다.
- 프로젝트 주제 :
아마추어 예술가들을 위한, 기부사이트 플랫폼
- 주요 페이지 소개:
블록체인 특성상,접근하기 어려움이 있는데, UI적으로 친근감을 주기위해, 보다 귀여운 디자인 컨셉
1. main Page (흐르는 효과를 사용했기때문에 영상으로 찍어보았습니다.)
2. createNft Page (filepond를 사용하였습니다.)
3. danate Page(Artist가 발행한 카드들을 볼 수 있습니다.)
4. 후원자가 Donate를 하고싶은 사람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카드의 정보 및 아티스트의 명언 그리고, 그 아티스트가 발행한 NFT를 볼 수 있는 NFT Detalis Pase가 나오게됩니다.
그리고, Danate를 누르게되면 구매를 하기위한, 메타마스크 연결이 나오게됩니다.
+ 메타마스크 연결하고 난 후, token owner account _ alert창 띄우기
5. danate Page에서처럼 Gallery Page또한 데이터베이스에 받아온 정보들로 뿌려지게했으며,
GoHome버튼은 아래와 같이 공중에 띄웠습니다.
+ 그리고 벽의 맨 마지막은 video를 추가해서 생동감을 보여주었습니다.
작품소개 end.
NFTeam ( Non Fungible Team )
대체불가능한 팀
NFTeam팀원 소개 😎
도희경, 정은경, 손정습, 서장연
NFTeam팀원 각자 기여한 부분 😎
우리 팀은 3개월 동안 익숙하지 않은 '블록체인'이라는 분야를
크게 블록체인BM공부 -> html, css, js, vue.js -> solidity, 네트워크 등.. 교육을 받은 후,
진행된프로젝트였습니다.
우리팀은 팀원 전원이 모두 비전공자 들이였는데요.
팀장을 담당한 정습님은 공대이시지만 관련전공자는 아니였기때문에
1달동안의 프로젝트의 최우선 순위는 공모전이아닌,
1순위 : 개인스터디 -> 2순위 : Hdac공모전 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진행과정에 있어서는 템플릿을 사용하지않고,
마크업 하나하나 직접 하나하나 구현하는 즉, 맨땅에 헤딩하기를 하자고 선언하고,시작한 저희 팀이였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말하면, 실제 현존하는 서비스에비해 사실상 UI적으로는 세련되지는 않았았다는 점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상을 수상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협업측면에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면, 팀장의 역할로써 잘 이끌어주신 정습님,
항상 밝은 에너지로 각자 맡은 부분에 있어서 프로젝트에 열심히 임했었던
희경님, 장연님이 함께였기에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더 자세한 AMADO Project 간단 소개 😎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과정 : 2021 혁신성장 청년인재 양성사업,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 프로젝트 명 : NFT 기반 아마추어 아티스트 후원 플랫폼, 아마도(AMADO)
- 프로젝트 기간 : 21.07.09 ~ 21.09.27
- 구현 목표 :
- 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 및 데이터 앱 내 진열 후 특정 기부자가 아티스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구매하여 NFT로 민팅
- 아마추어 아티스들의 작품을 웹 상에서 전시할 수 있는 갤러리 공간 제작
프로젝트 설명
1. 서비스 설명
디지털 인증서라 불리는 'NFT'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작품활동을 지지하는 기부 플랫폼입니다. 저희 플랫폼을 통해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작품을 NFT로 발행하고, 플랫폼 상의 후원자들을 모집해 발행된 NFT를 후원하도록 하거나 플랫폼 상에 후원된 금액을 플랫폼 내 아티스트들에게 적절히 분배하여 후원합니다.
2. 현황(문제점)
우리나라 미술분야에서는 실제 작가로서의 위상을 지닌 경우가 30%에 불과합니다. 이는 개인 전시를 통해, 작가로서의 위상을 쌓기에는 전시 자체에 대한 비용 및 진입의 문턱이 높은 현실(작품 활동 비용 및 대관 비용 문제)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은 경제적 문제로 지원을 받아야만 개인 전시자체를 할 수 있지만, 그 지원 규모가 작아 시도조차 못하는 것을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3.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현재의 우리나라 아마추어 예술가들이 가장 큰 문제점은 너무 작은 시장규모에 국한되어있다는 점입니다. 블록체인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글로벌하게 이뤄지므로 우리나라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후원 및 수익 시장을 보다 넓히는 데 가장 효과적인 분야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후원자들은 투명성있는 후원을 할 수 있으며 NFT를 통해 특정 예술가에게 바로 후원할 수도 있습니다. 저희 팀은 이런 생태계를 유지하여 앞으로 펼쳐질 다양한 디지털 세상에 필요한 크리에이티브한 콘텐츠를 창출하는 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의 육성에 기여하는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https://github.com/Jeongseup/NFT-Hackathon
GitHub - Jeongseup/NFT-Hackathon: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 Contribute to Jeongseup/NFT-Hackath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9일 오늘 새벽,
우리팀은 게더에서 만나,
서로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마무리를지었습니다.
프로젝트 기간내내 새벽까지 함께 힘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재미있었고, 더불어 결과까지 좋았기때문에 절때 잊지 못할 것이고,
끝으로, 또 이 번 과정을 통해 인연을 맺게된
변혜성강사님에게 항상 4팀을 위해 응원해주시고,
에너지가넘치는 팀이라며 예뻐해주셔서 너무 감사했다는 말씀 전해드리고싶습니다.
오늘 새벽에 발행한 우리의 NFT✨🎊
> 추가적으로 저의 감성Blog로 구경오시면 보다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blog.naver.com/luckyjek
> 우리팀원 블로그:
손정습 :
https://blog.naver.com/thswjdtmq4
도희경 :
https://blog.naver.com/dhk0729
서장연 :
https://blog.naver.com/seo533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