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개인] 프론트엔드 로드맵

[용어정리] Part1인터넷 |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할까요?

MI개발자 2021. 12. 30. 15:04
Front-end 로드맵 따라하기

(요약) 키워드로 알아보기 
인터넷은 컴퓨터의 글로벌 네트워크이다. 때문에 연결된 각 컴퓨터는 고유한 주소가 있어야한다. 인터넷 주소는 nnn.nnn.nnn.nnn형식이다. 여기서 nnn은 0 - 255 사이의 숫자여야한다. 이를 IP(Internet Protocol)주소라고한다.

아래 그림은 인터넷에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를 보여준다. IP주소가 1.2.3.4인 컴퓨터와 IP주소가 5.6.7.8인 다른 컴퓨터. 인터넷은 그 사이에 있는 추상적인 객체로 표현된다. 
http://web.stanford.edu/class/msande91si/www-spr04/readings/week1/InternetWhitepaper.htm

*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전화 접속 세션 동안 임시 IP 주소가 할당됩니다.LAN(Local Area Network)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는 경우 컴퓨터에 영구 IP 주소가 있거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에서 임시 주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어쨌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에는 고유한 IP 주소가 있습니다.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는 KT, SK브로드밴드, LG U+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 참고하기
더 알아보기 

  • 인터넷은 표준화된 프로토콜 집합을 통해 통신하는 서로 연결된 컴퓨터의 글로벌 네트워크이다.
  • 인터넷은 탈중앙화로 유명하다.
  • 아무도 인터넷을 소유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을 제어하지 않는다.
  • 대신 수천 개의 서로 다른 조직이 자체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자발적인 상호 연결 계약을 협상한다.
  • 즉, 아무도 인터넷을 운영하지 않으며 분산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인터넷과 중요 관련 키워드를 조금 더 살펴보자 

 

네트워크 :
서로 다른 장비 간 데이터를 교환 할 때 기본적으로는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이 한 대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반드시'라고 할 수 있을만큼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전달된다. 

  • 현재 네트워크 자체는 우리가 구조를 알지 못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웹 페이지가 보이는 것처럼, 통신하고 싶은 상대 주소만 지정하면 간단히 통신할 수 있는 것이 현재의 네트워크이다.
  •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나 교환에는 다양한 구조가 존재한다. 하지만 인터넷 통신 구조를 포함해 가장 기본적으로는 3계층형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경우 대부분 TCP/IP라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는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잘 전달해 주는 우수한 구조이다. 
  • 이는 너무 방대하기때문에 네트워크 전문서를 나중에 참고해서 따로 보는것을 추천!

종단시스템 :
PC나 스마트폰처럼 네트워크 우리가 뭔가를 보내거나 받거나 하는 송수신 주체가된다.

 

프로토콜 :
두개의 서로다른 시스템에서는 약속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토콜(Protocol)이라는 규약을 가지고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약속을 통해 우리는 데이터를 주고,받고 한다. 통신을 목적으로서 실제로 뭔가를 보내야 되기때문에 '선' 혹은 '무선'같은 물리적으로연결이되어있다.

ex. 컴퓨터->유선(전기적 시그널) / 핸드폰-> 무선(주파수) 

인터넷(인터-네트워크줄임말) :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으며, 전 세계의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하는 과정 살펴보기)

- 다양한 프로토콜을 가지고있다. (브라우저에서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
- 종단시스템은 보통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연결된다.

패킷 :
네트워크 전송의 용량 단위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달할 때 형식화된 블록이다.


그럼 이런 인터넷은 서로 어떻게 전송이될까

바로 패킷이라는 기본단위로 전송이된다.

이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해뒀던 TCP/IP포스팅을 보면 패킷에 대해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 패킷은 정보를 소화 가능한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면, 네트워크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한다. (이해는 안되지만 우선 적어두기)

함께보면 좋은 자료

https://mystudy.tistory.com/18?category=974827 

(유튜브동영상) a-z까지송수신되는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