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로드맵 따라하기
(요약) 키워드로 알아보기 

✨도메인이랑 호스팅은 연관이 깊다.

Hosting란?
내 홈페이지 소스코드를 저장 할 공간을 임대 받는 것이다. 
(내 컴퓨터에서 해도되지만 여러가지 이슈(아래에 나옴)로, 나를 대신해서 웹 서버를 제공해주는 회사들)

ex. 생활코딩: Github로 웹호스팅하는 방법 
더 알아보기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한 대, 한 대를 호스트(host)라고 한다. 즉, 웹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 다시 말해서 호스트(host)를 빌려주는 회사를 웹호스팅(web hosting)업체라고 한다.

 
우리가 홈페이지를 제작한다는건 곧 소스코드를 만든다는 의미이다. 그럼 홈페이지를 제작한다는것은 곧 구독할 수 있는 소스코드를 제작한다는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럼 그 소스코드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데, 보통은 자신의 컴퓨터 하드웨어에 저장이 가능하다. 그런데 자신의 컴퓨터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려다가 보면, 컴퓨터는 365일 24시간 작동시켜야 하는문제, 인터넷 속도문제, 보안문제 등 홈페이지를 구동시키는데 이러한 여러가지 이슈들이있다. 따라서 속도도 빠르고, 보안문제도 없고, 365일 24시간 full서비스가 가능한 서버에 우리의 홈페이지를 올리는 것이 좋다. 즉, 이러한 서버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업체가 호스팅 업체이다. 우리가 필요한 만큼 할당을 받아서 거기에 소스코드를 올리고, 우리의 웹사이트를 서비스 하게 되는 것이다.


❗ 호스팅관련 상품이해하기
1. 용량을봐라 (필요한 만큼 자기 스펙에 맞춰서 구매)
나의 소스코드 뿐만아니라 홈페이지에 유저들이 파일을 업로드하면 그 파일만큼의 용량을 더 사용하게 될텐데 따라서 이점을 고려하여 사이트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 만큼 구매를 하면된다. 그런데, 이런 부분이 어렵다? 하면 개발자혹은 담당자 한테 맡기면된다.


2. 트래픽용량(해당사이트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왔다갔다하나?)

800M를 샀다면, 하루동안 800M에 데이터만 왔다갔다 할 수 있다. 800M보다 이상의 데이터가 왔다갔다한다면? 더 높은 스펙으로 상품을 변경해야된다. 왜냐면 800M보다 초과가된다면 사이트가 다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hosting.cafe24.com/?controller=product_page&type=basic&page=autoban

3.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그럼 싼게 좋아요? 비싼게 좋아요? 라고 묻는다면..? 간단하게 말해서 가격과 서비스는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비싼 서비스는 비싼서비스만큼의 가치를하고, 가격이 저렴한 서비스는 딱 그정도까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펙비교와 함께 나한테 맞는 적절한 상품을 구매하면된다.

 

 


추가로, 이러한 임대를 할때 호스팅도 홈페이지의 종류에 따라 절차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 종류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종류를 나눈 기준 - 홈페이지가 멈춰있는 정적인가? 움직이는 동적인가? 


정적홈페이지(Static Website) vs 동적홈페이지(Dynamimc Website)
우리가흔히 알고있는 대부분의 홈페이지는 동적홈페이지이다. 반대로 정적 홈페이지란 말 그대로 '보여주기식'의 홈페이지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이루어져,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을 처리해 주는 서버 컴퓨터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는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컴퓨터, 즉 사용자들의 컴퓨터로서 개발자자들이 웹을 개발하며 이미 구성을 다 해놓았겠지만, 서버 컴퓨터는 웹 개발을 한 후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로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홈페이지에 따른 서버 역할을 해줄 컴퓨터가 필요하다.

'내 컴퓨터로 작업하는 건데 내 컴퓨터가 서버 역할도 하면 되는 거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이 때, 내 컴퓨터는 항상 작동되어야 하며, 개인 컴퓨터인 만큼 보안이 취약하다. 또,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리스크도 크고 요구 사항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역할을 전문적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 클라우딩 컴퓨터 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버 컴퓨터를 대여해야 하는데, 이런 절차를 전문적으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시로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있다. AWS를 활용하면, 본인의 홈페이지를 담당해 줄 서버 컴퓨터를 대여해, IP를 할당받는다. 또, 할당받은 IP를 통해 원격접속하여 대여한 서버 컴퓨터의 설정을 변경하는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출처 : 코딩월드뉴스(https://www.codingworldnews.com)

 

Static Website

  • 정적인 웹사이트
  • 화면에 보이는 컨텐츠 그대로 html이 작성되어있다.
  • 그대로 응답해서 브라우저에 보여준다.
    ex. 회사 소개 페이지, 포트폴리오 페이지 등

Dynamic Website

  • 정적인 웹사이트와 반대
  • 요즘 대부분의 사이트는 Dynamic website로 만들어져있다.
  • HTML, CSS 기본구조는 정해져있고 상품 이미지에 따라 상세 페이지를 다르게 보여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데이터를 백엔드에서 받아와서 JavsScript로 DOM을 조작하여
    해당 이미지에 맞는 페이지를 동적으로 보여준다.

 

✨호스팅1: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참고 영상 

youtube

codingworldnews

✨호스팅2 : 클라우드 컴퓨팅

youtube

 

 


함께보면 좋은 자료

youtube

mystudy

 

도메인과 호스팅 연결하는 법 : 

youtube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