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로드맵 따라하기
인터넷과 TCP/IP 프로토콜의 탄생에 기여한 공로로 '인터넷의 아버지'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미국의 전산학자이다.
1. 접근성(Accessibility)
- "인터넷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는 한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 (위 인물사진) Vint Cerf, 1999년 4월 7일 - 그러면 이러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자가 어떻게 코딩을 해나가야 될까?
- 바로 시맨틱하게 즉, 의미있는 태그를 작성해야한다.
- <div> 및 <span> 는 아무 의미가 없다. 즉 스타일을 위해 작성하는 태그일 뿐이다.
- 즉, 접근성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른 요소(태그)가 더 적합한지 항상 확인하며 문서화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의미 요소(태그)의 예: <form>, <table>, <article>, <heading> 등 의미 있게 작성된 문서화를 할 수 있다.
2. 검색엔진최적화(SEO Basics)
- 검색엔진최적화는 기본적으로 '검색엔진'을 이해해야지만, 이어 얘기를 할 수가있다.
- 왜냐하면, 상위노출 이런것들은 검색엔진 최적화의 일부일 뿐, 이것이 검색엔진최적화의 전부는 아니기 때문이다.
- 검색엔진 이해하기! 검색엔진이란 무엇일까?
- 먼저, 검색엔진 원리를 알아야 한다. 검색엔진은 크게 수집, 색인, 검색 처리 3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검색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람들은 이 3가지 과정을 다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수집 :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 Google, Naver와 같은 다른 웹 사이트의 웹문서(페이지)를 수집해온다.
- 상품정보, 음악정보, 영화정보 등
- 색인 : 수집된 데이터를 '(키워드 별로)어떤 단어는 어떤 문서에 있어!' 라고 인덱싱 처리(정리하는 작업 진행)를 해주고, 위치를 알려준다
- 키워드 : 문서번호
- 검색처리 : 어떠한 키워드(검색어)를 입력했을때 그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색인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결과를 보여주는것이다.
- 아래 예시로 키워드 : 문서번호 정리해둔 표를 보자.
검색창에 "커피 & 카페 & 프론트엔드 키워드가 들어가 있는 문서를 찾아줘" 라고 하면, 하이라이트 되어있는 '문서3' 이 나온다. <- 이것이 검색의 처리방식이다. - 정렬(유사도순)을 한다. 내가 입력한 키워드와 얼마나 관련성이 높은가?
- 이것은 문서안에 관련 키워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거나,
- 키워드가 가중치가 높은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가? 예를들어 title 태그에 관련 키워드가 들어가 있는가?
- title 태그는 본문에 있는 키워드보다 가충치가 훨씬 높다.
- 따라서 유사도순, 인기순, 최신순 이런식으로 검색엔진이 돌아간다고 생각하면된다.
- 아래 예시로 키워드 : 문서번호 정리해둔 표를 보자.
- 수집 :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 먼저, 검색엔진 원리를 알아야 한다. 검색엔진은 크게 수집, 색인, 검색 처리 3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 정리하자면, 마케팅에서 상위노출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은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기억하자.
수집이 안되면?
색인이 안되고 색인이안되면?
검색처리가 안된다.- 따라서 위의 3가지 과정이 모두 검색엔진 최적화에서 모두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위의 정리 내용을 토대로 수집, 색인, 검색처리를 준수만 잘 한다면 상위노출이 잘 될 수 밖에없다.
- 검색엔진은 기계이다.
따라서 혼자 판단/짐작 같은것은 할 수가 없다.(아직까지는 말이다. 미래에는 할 수 있을 수도...) 규칙에 의해서 돌아간다. - 따라서 검색엔진 최적화는 원칙을 지켜서 그 원칙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검색엔진에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웹페이지가 좋은 웹페이지이고, 그게 모여있는 도메인이 좋은 도메인이라고 인지를 할 때 그 도메인에 연결되어있는 페이지들을 상위에 노출 시켜주기 시작한다.
참고자료 :
최근댓글